송어낚시 이것만 알고 가자

"워블계 스푼" 무게의 선택! [이유의 고찰]

아라미스75 2020. 11. 11. 11:58
728x90
반응형
SMALL

안녕하세요. 아라미스입니다.

오늘은 스푼의 선택, 무게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여러분은 낚시터에 도착하면 "먼저 어떤 스푼을 던지고 있습니까?"

 

스푼따위는 던지지 않는다.

그런분들도 있을테지만 즐기는 방법은 각자의 취향이니깐요 ^^;;

 

단지 이번에는 스푼에 대한 이야기이니깐 그런 가정하에 이야기를 진행해봅니다.

 

아침에 처음 낚시터에 들어가면 강한 워블계 스푼을 파일럿미끼로 선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제 경우 구체적으로 말하면 도나2.5g 하이버스트1.6g 노아1.8g 입니다.

 

왜 워블계인가??

 

우선 그 의문에서 해결해봅시다.

대답은 의외로 간단합니다.

워블계 스푼의 특성상 물고기를 대는 힘이 강하기 떄문입니다.

활성이 높은 송어를 빠르게 많이 잡기 위한 선택입니다.

 

그럼 왜 도나2.5g 하이버스트 1.6g 노아1.8g 인가.......???

 

도나 1.5g 하이버스트 1.3g, 노아 1.5g 은 안돼요??

사실 같은 모양과 이름의 스푼으로도 g수에 따라 운동강도와 감는 적정 속도가 다 다릅니다.

 

예를 들어 하이버스트 1.3g 레인지 키프력 (같은 수심을 유지하고 수영하여 오는힘)이 높고

속도가 3~7까지 범위가 있다고 하면 스피드 3~7은 어디까지나 기준수치입니다.

하이버스트 1.6g 의 레인지 키프력은 대략 스피드 4~6 정도의 범위 입니다.

 

이렇게만 보면 하이버스트 1.3g이 더 속도 범위가 넓고 좋으니 1.3g을 써야하는거 아닌가요?

그러나 워블의 강도로 보면 하이버스트 1.3g보다 주위에 어필하는 힘이 높은 하이버스트 1.6g이

어필하는 힘이 더 강합니다.

 

이렇게 멀리서 송어를 대는 힘이 강하다는 이야기입니다.

 

더 세부적으로 이야기하면 수심까지도 논해야하므로 수심이 있는 낚시터(3m이상)에서

더 무거운 스푼에서 시작할수도 있고 표층에 쌓여있는 낚시터에서는 헌트 0.7이나 0.9처럼

저그램대의 스푼을 사용합니다.

 

저의 경우는 도나 2.5g 이나 하이버스트 1.6g에서 활성이 높은 송어를 찾아갑니다.

 

그리고 다양한 범위 (수심)을 찾고 송어의 반응이 많은 레인지(활성이 높은 물고기가 모여있는 범위)를

찾습니다.

반응이 없으면 색상을 바꾸고 로테이션합니다.

 

자 이젠 반응이 많은 레인지를 찾아낸 경우 어떻게 할것인가?

 

자 이제는 하이버스트 1.3g의 차례입니다.

물론 그대로 하이버스트 1.6g을 계속 사용해도 잘 잡힙니다.

그러나 워블이 강하면 물고기를 대는 힘도 강하지만 그만큼 저활성으로 변하게 하는 힘도 강한 것입니다.

그래서 워블계의 힘을 굳이 떻어트리지 않고 속도도 느슨하게하여

조금이라도 덜 반응을 떨어뜨리지 않고 계속 뽑아내자는 것입니다.

※ 여기서 중요한 것은 동일한 컬러를 계속 사용하지 않기

색상을 바꾸면 높은 확률로 스트레스를 주지않고 조금더 남들보다 모아서 뽑을수 있습니다.

 

물론 토너먼트 대회처럼 미끼 체인지 시간이 아깝거나 방류 직후 루어의 강도를 떨어 뜨리고 싶지않은 경우에는

예외입니다.

이렇게 하면 하이버스트 1.3g 1.6g에서 필요한 색상은 좁힐수 있습니다.

워블계 스푼 무게에 따른 선택 !! 이젠 할수 있겠지요???

자신만의 워블계 파일럿 스푼으로 연습하여 레벨업 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728x90
반응형
LIST